기사 메일전송
‘눈 뜨고 코 베이는’ 디지털 금융사기 막는다!
  • 중앙 편집국 기자
  • 등록 2024-05-21 16:20:01

기사수정
  • 시, 21일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금융사기 예방교육 ‘디지털 금융사기와 헤어질 결심’ 실시
  • 홍콩ELS사태 등 금융상품 불완전판매, 장례식 부고 스미싱 등 금융사기 사례 및 대책 소개

전주시가 장례식 부고문자 스미싱 등으로 인한 시민들의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금융특강을 열었다. ‘스미싱’은 문자(SMS)와 피싱(Fising)의 합성어로, 문자를 통한 금융사기를 의미한다.

 

`눈 뜨고 코 베이는` 디지털 금융사기 막는다!

시는 21일 오후 3시 한국전통문화전당 교육실에서 시민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‘눈 뜨고 코 베이는, 디지털 금융사기와 헤어질 결심’을 주제로 ‘2024년 제2회 전주시 금융플러스+ 아카데미’를 개최했다.

 

이날 강좌에는 성수용 금융감독원 국장이 강사로 나서 일상 속 당연한 행위를 악용한 금융사기에 시민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△홍콩 ELS사태로 대표되는 금융상품 불완전판매 △지인 등에 의한 금융착취 △보이스피싱과 스미싱, 유사수신행위 등 금융사기 등에 대해 소개했다.

 

성 국장은 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선임교수로, 불법금융대응단 부국장과 금융상품판매감독국장 등을 역임했으며, 현재 금융사기와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위해 다수의 강연에 나서고 있는 금융전문가다.

 

성 국장은 이날 강좌에서 “보이스피싱이 주를 이루던 금융사기가 로맨스스캠과 주식리딩방 등 기상천외하게 진화하고 있다”면서 “고수익이면서 원금이 보장되는 투자는 없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”고 조언했다.

 

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시민들이 한 번의 실수로 가계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금융사기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

 

이와 관련 시는 시민들의 금융 상식을 높이기 위한 ‘2024년 전주시민 금융교육’의 일환으로 △지역 대학생들의 건전한 투자관 확립을 돕는 ‘금융포트폴리오 교육프로젝트’ △미래 소비 주체인 초·중학교 아이들의 금융 상식을 높이기 위한 ‘찾아가는 금융학교’ 등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.

 

동시에 시는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금융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전북대학교와 함께 금융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, 지역인재의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등 주요 금융기관의 취업을 돕고 있다.

 

한병삼 전주시 경제산업국장은 “최근 사회 전반에 ‘한탕주의’가 만연해 있는데, 자칫 시민들이 금융사기로 큰 피해를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”면서 “이번 교육이 금융사기를 인식하고 멀리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”고 말했다.

 

0
  • 목록 바로가기
  • 인쇄


최신뉴스더보기
모바일 버전 바로가기